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403

4월 14일 화수미제(火水未濟) 4월 14일, 음력 戊子년 丙辰월 甲申 일주입니다. 오늘 지지는 申子辰 3합이니 온통 축축합니다. 水 기운이 강렬한데 천간은 木火土의 건조하고 더운 기운입니다. 오늘 지은 괘의 모습과 비슷하네요. 화수미제(火水未濟) 괘가 나왔습니다. 동한 효는 4효와 6인데 동효가 2개 나오면 상효의 효사를 점사로 하라니 그렇게 하겠습니다. 개발팀장 중 한 명이 그만두겠답니다. 이 친구 나이도 많은데 옮기겠다는 곳이 미덥지 않습니다. 평소 제가 힘들게 한 게 크게 작용했을 겁니다. 딴에는 조금 힘들더라도 이 친구에게 좋을 거라 나름 하드트레이닝 시킨 셈인데요... 이 사람은 달랐을지 모르겠습니다. 걱정이 됩니다. 이 친구 나가서 구멍날 일들도 걱정, 나가서 잘 살 수 있을지도 걱정... 그래서 이게 전화위복이 될지 그냥.. 2008. 4. 15.
병산서원 병산서원 명재상 그리운 입교당에 앉아보자 만대루 일곱 칸 병풍화는 꿈만 같은데 바람과 함께 너른마루 지나 복례문 나서 황토빛 낙동강 모래밭 위 병산 바라보던 선현의 발길은 어디던가 2008년 봄에... 2008. 3. 11.
불교 상식 모음 Daum 블로그 (http://blog.daum.net/hyuncar/10986905)에서 퍼온 글입니다.불교 상식 모음 | 부처님의 세계 ★. 법우(法友)란 무슨 뜻입니까? 법우란 같은 불법을 배우는 친구라는 뜻입니다. ★. 불자란 어떤 뜻입니까? 부처님의 제자란 뜻으로, 부처님을 믿는 사람은 앞으로 부처님이 될 수 있다는 뜻입니다. ★. "부처님"이란 뜻은 무엇입니까? "깨달은 사람"이라는 뜻으로 이 세상에서 가장 높은 진리를 밝게 깨달아 온갖 복과 덕을 모두 갖추신 분이라는 뜻입니다. ★. 염불이란? 거룩하신 부처님을 고요한 마음으로 간절히 생각하며, 부처님의 크신 공덕을 기리며, 부처님의 이름을 부르는 것입니다. ★. 기도란? 바라는 것이 이루어지기를 부처님께 간절히 비는 믿음이며, 참되고 올바른.. 2008. 1. 29.
지천태(地天泰) 2008. 1. 29. 1월 29일 화요일, 음력 12월 22일 丁亥년 癸丑월 戊辰 일주입니다. 亥년 丑월 추운데 다행히 癸 수가 일간과 합해 火가 되어 나를 생하고 辰 일지는 아쉬운 대로 내 편이니 그나마 버틸만한가요? 괘 짓는 법을 잊어버릴 만큼 오랜만에 괘를 지었습니다. 요사이 변변한 일을 못 만들어 매가리가 없습니다. 어떻게 1, 2월 일을 하나 만들 수 있을까 해서 물어보았습니다. 아래는 하늘이고 위로 땅이어서 지천태(地天泰) 괘에 6효가 동했습니다. 하늘땅이 뒤집어졌는데 어째서 태평한 泰일까요. 하늘이 위에만 있고 땅이 아래에만 있으면 천지가 사귀지 못하고, 천지가 사귀지 못하면 만물이 나오지 못합니다. 하지만 하늘기운이 내려오고 땅기운이 올라 하늘땅이 사귀어 통하니 泰가 됩니다. 또 내괘는 모두 양이라 군자가 실권.. 2008. 1. 29.
[본문스크랩] 주심포양식과 다포양식 주심포 양식과 다포 양식의 비교전통사찰양식은 지붕양식, 공포양식, 기둥양식, 초석양식, 기단양식 등이 있다. 공포양식은 지붕 하중을 기둥으로 전달하는 부재료로서 기둥으로부터 처마까지의 시선의 흐름을 원활히 해주며 시대구분에 매우 중요한 요소로 주심포 양식, 다포 양식, 익공 양식과 일부 남아 있는 하앙 양식을 포함한다. 여기서는 공포양식 중 일반적인 형태인 주심포양식과 다포양식을 살펴본다. 주심포 양식은 고려초기에 신라와 송의 건축양식을 바탕으로 주두위에만 짜는 양식이다. [특징] 주심포 양식은 고려초기에 신라와 송의 건축양식을 바탕으로 주두위에만 배치한 것으로 가장 오래된 형식이며 소박한 느낌을 자아낸다. 이양식의 특징은 1.배흘림 기둥을 세움. 2. 기둥과 기둥을 창방으로 연결 .. 2008. 1. 24.
[본문스크랩] 정크본드[junk bond] 정크본드 [junk bond] 신용등급이 낮은 기업이 발행하는 고위험·고수익 채권.본문정크(junk)란 ‘쓰레기’를 뜻하는 말로 직역하면 ‘쓰레기 같은 채권’이다. 일반적으로 기업의 신용등급이 아주 낮아 회사채 발행이 불가능한 기업이 발행하는 회사채로 ‘고수익채권’ 또는 ‘열등채’라고도 부른다. 신용도가 낮은 회사가 발행한 채권으로 원리금 상환에 대한 불이행 위험이 큰 만큼 이자가 높기 때문에 중요한 투자 대상이 된다. 1970년대 미국 정크본드 시장의 대부로 불렸던 마이클 밀켄이 하위등급 채권을 정크라고 부른 데서 유래되었으며, 당시에는 신용도가 높은 우량기업이 발행한 채권 중 발행기업의 경영이 악화되어 가치가 떨어진 채권을 가리켰으나, 최근에는 성장성은 있으나 신용등급이 낮은 중소기업이 발행한 채권이.. 2007. 11.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