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늘 천(天) 자는 한 일(一)에 큰 대(大)를 합쳐 ‘하나로 제일 큰 것이 하늘’이라는 뜻이랍니다. 위의 一은 하늘이고 아래의 一은 땅이고 가운데 人은 사람(만물)을 뜻하니 하늘이 땅과 사람을 포용하고 대표한다는 뜻이기도 하답니다. 天이 사람 눈에 보이는 푸른 하늘의 형상을 가리킨다면 괘명인 乾은 하늘의 내적인 이치, 즉 성정을 나타낸다고 합니다. 또한 하늘 乾 자를 파자하면, 좌양우음 이치에 따라 글자 왼편에 내십갑과 외십갑을 하고 오른편은 乙과 人을 하였습니다. 하늘의 끊임없는 운행을 내외의 十甲으로 표현하면서 하늘이 천지인 삼재를 베풀고 통송하는 주체임을 나타내고자 천지인에 상응한는 갑, 을, 병을 함께 취한 것이라 합니다.
어떻습니까? 명괘하지요? 대산 선생님의 해설을 볼 때마다 참으로 대단하시다는 생각을 합니다. 중천건 괘 풀이는 워낙에 유명하지요. 乾은 元코 亨코 利코 貞하니라 . 대산 선생님 풀이를 한번 옮겼으면 좋겠지만 벌써 근무시간이 다가오니 그만 적고 오늘 동한 4효의 뜻 풀이를 볼까요?
九四는 或躍在淵하면 无咎-리라 .
(구사는 혹 뛰어 못에 있으면 허물이 없으리라.)
潛龍에서 시작한 용 시리즈(?)가 구사에 오면 내괘를 지나서 외괘에 있고, 인군인 구오 밑에 있으니 한번 혹약하여 뛰어보는 자리랍니다. 하지만 양이 음 자리에 있어 제자리가 아니아니고, 중을 얻지 못한 까닭에 다시 在淵하여 본래 연못 속으로 돌아오니 허물이 없답니다.
여기서 或은 자신의 처지를 의심한다는 것이랍니다. 맨 위 두 괘는 天位이고 초효와 2효가 地位이고 3효와 4효는 人位의 자리입니다. 구사 자리가 중을 얻지 못하고 인위의 자리이지만 외괘의 자리에 있고 음이 양 자리에 와서 바르지 못해 자신의 위치를 의혹스럽게 생각하네요. 躍은 발 족에 깃 적(翟)을 했으니 발에 날개를 달아놓은 격이니 하늘로 올라가지 못합니다. 날아보고 싶지만 뛰어보고 마는 정도에 불과합니다.
또한 초구와 마찬가지로 구사가 변하면 괘체가 손하절 괘로 변하니 巽은 入也라 하니 못 속으로 들어가고, 구사의 지괘 또한 조금 쌓는다는 풍천소축입니다. 구름은 잔뜩 끼어있으나 비가 오지 않는다는 密雲不雨입니다. 아직은 실력이 부족하다는 뜻으로 보면 된다네요. 그러니 급히 나아가지 말고 때와 더불어 행동하라는 뜻이랍니다.
아침에 출근해서 이렇게 주역 괘를 지어보고 잠시 성현의 말씀을 보면 참 좋습니다. 한편으로 점을 쳐보는 의미도 있지만 이렇게 말씀 속에 있는 가르침을 받는 것이지요. 오늘 배운 게 뭐냐고요? 흠... 뭐 요즘 표현으로 하면 까불지 말고 정진해라... 이런 게 아닐까요? 오늘도 건강들 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