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403

양재천 숲 4계 -2 2012. 3. 13.
양재천 숲 4계 1 2012. 3. 13.
양재천 풍경변화 2012. 3. 13.
양재천 은행숲 4계 2012. 3. 13.
진중권 얘기 보면서 한마디... 세상 돌아가는 꼴을 제대로 이해하려면 역사와 철학 공부를 많이 해야 합니다. 역사는 뭐 고대사까지 들여다보면 좋겠지만 근대 이후를 집중적으로 보면 좋을 것 같네요. 왜냐하면 모두가 전공자도 아니고 시간도 없고, 조선 후기까지 우리가 특별히 남의 식민지살이를 하거나 국토와 민족이 반동강 나서 세계의 화약고가 된 적이 없으니까요. 잠깐 시기 구분을 해볼까요? 봉건제라는 지저분한 제도가 있습니다. 중앙에 허깨비를 든든한 빽으로 삼고 최고권력을 휘두르는 교황을 중심으로 크고 작은 성곽으로 둘러싸인 영주들이 있습니다. 이 성에 사는 성주들이 교황에 충성을 맹세하면서 독자적인 정치, 외교, 경제를 꾸려나갑니다. 성 안에서는 성주가 최고 짱입니다. 봉건시대의 농노들 생사여탈권을 가지고 있는 사실상의 국가지요. 봉건제.. 2012. 3. 13.
조선의 사상과 역사... 이** 후배님. 와, 공대생이 역사까지, ㅎㅎ... 세조 얘기가 나오니 입이 근질근질해서 글을 남깁니다. 조선의 사상에 대해 얘기해보고 싶어서요. 조선은 성리학, 그 중에서도 주자학을 국가의 이념으로 삼은, 국가이념이 바로 철학인 세계적으로 아주 독특한, 자랑스러운 국가입니다. 중국 성리학이 理, 氣 心 모두를 사고의 대상으로 삼았던 반면에 조선은 오직 理를 중요시하지요. 이를테면 현상보다는 원리를 중요하게 생각한 겁니다. 언제나 그렇지만 원칙이나 원리는 청년의 몫이기도 합니다. 그래서 고려말 신진사대부들은 이 理로 고려의 폐단(현상)을 배척하고 나라를 세웁니다. 그런데 이 理, 하늘을 닮은 품성의 근본, 도덕의 원리를 배반한 정변이 조선초부터 발생합니다. 물론 태종입니다. 세조만 문제가 아니라는 거지요.. 2012. 3.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