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정생 선생 살던 곳을 가다가 덤으로 본 조탑동 5층 전탑입니다. 안동에는 탑동종택 앞에 7층전탑도 있고 여기 조탑동에도 있습니다. 다른 지역에는 보기 어렵다고 하지요. 삼장법사가 활동하던 시기 중국에서 유행하던 탑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 양식이 신라에 퍼져 지금까지 남아 있지요. 몇 장 안 되니 크게 한 번 올려봅니다.
![](https://t1.daumcdn.net/tistoryfile/fs8/17_20_16_20_blog267133_attach_0_94.jpg?original)
조탑동 갈 때는 안동에서 남안동IC 쪽으로 가다가 오른쪽으로 살짝 빠지면 됩니다. 남안동IC로 나오면 왼쪽으로 살짝 빠지면 되고요.5분이 채 안 되어 권정생 선생 종치기 하던 교회를 지나면5층전탑 안내판이 보입니다.
![](https://t1.daumcdn.net/tistoryfile/fs7/30_20_16_20_blog267133_attach_1_100.jpg?original)
전탑은 당나라 삼장법사 시절 많이 지었던 탑 양식이라고 들었습니다.목재에서 전탑으로, 전탑에서 석탑으로 양식이 변한다고 합니다.이 전탑 양식이 유독 신라 지역에 많고 그 중에서도 안동에 신세동전탑과 조탑동전탑, 동부동전탑이 있습니다.
![](https://t1.daumcdn.net/tistoryfile/fs2/1_16_8_8_blog267133_attach_0_98.jpg?original)
전면에 인왕상과 감실이 보이고요, 화강암과 벽돌을 혼용해서 지은 특이한 양식이라고 합니다.
![](https://t1.daumcdn.net/tistoryfile/fs9/7_20_16_20_blog267133_attach_0_87.jpg?original)
1층은 보시듯 벽돌이 아닙니다. 화강암이라고 합니다. 신라의 도공이 만든 인왕상이 여전히 선명합니다. 부처를 상징하는 유물을 모시는 감실도 보입니다.
![](https://t1.daumcdn.net/tistoryfile/fs8/17_20_16_20_blog267133_attach_0_95.jpg?original)
감실 안 모습입니다. 뭐라고 글이 써 있는데 까만 건 글자요, 노란 건 바닥이니...
![](https://t1.daumcdn.net/tistoryfile/fs8/17_20_16_20_blog267133_attach_0_96.jpg?original)
좀더 가까이서 한 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