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 한 괘
동효(動爻) 읽는 법
무소뿔
2007. 8. 7. 10:02
① 6효 모두 불변효
본괘(本卦)의 괘사로 점을 친다.
② 1개의 효가 변효
본괘의 변효(變爻) 효사로 점친다.
③ 2개의 효가 변효
본괘의 변효중에서 상효(上爻)의 효사를 체로 하고, 하효(下爻)를 용으로 하여 점을 친다.
④ 3개의 효가 변효
본괘와 지괘(之卦)의 괘사로 점을 치는데, 본괘가 체(體)가 되고 지괘는 용(用)이 된다.
단,지괘가
비(否)·점(漸)·려(旅)·함(咸)·미제(未濟)·곤(困)·고(蠱)·정(井)·항(恒)일 경우 본괘의 괘사로 점을 치고,
익(益),서합,비,기제(旣濟),풍(豊),손(損),절(節), 귀매(歸妹), 태(泰)일 경우에는 지괘의 괘사로 점을 친다.
# 현재 처해 있는 상태를 체(體)라고 하고,일이 진행되는 과정 및 결과를 용(用)이라고 한다.
⑤ 4개의 효가 변효
지괘의 변하지 않은 불변효중에서 하효(下爻)의 효사로 점을 친다.
⑥ 5개의 효가 변효
지괘의 불변효 효사로 점을 친다.
⑦ 6개의 효가 모두 변효
건(乾)괘는 용구(用九), 곤(坤)괘는 용육(用六)으로 점치고 나머지 62괘는 지괘의 괘사로 점을 친다.